비트코인이 한창 뜰 때 블록체인 기술을 살펴본 적이 있다. 여전히 이 기술에 대하 잘 알지는 못하지만 P2P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소규모 데이터 '블록'에 나누어 저장하는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 정도는 알고 있다. 그리고 이 기술의 사용 범위가 무궁무진하다는 것도 알고 있다. 당장 내가 사용하는 질병관리청 쿠브 어플도 블로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위변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시중 은행 등 보안을 중시하는 곳에서는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들었다.
가상화폐 중 상당수는 이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탈중앙화'를 외치는 이들의 주장과 도전은 일부 정당해 보이기도 하고,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는 언듯 안전해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난 처음부터 여기에 의문이 있었다.
화폐는 기본적으로 사회적 약속이다. '금화'와 '은화'. '동전'을 사용할 때에도 그만큼의 금, 은, 동이 사회적으로 가치를 인정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금이 전혀 사회적 가치를 인정 받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많은 양의 금화는 가치를 갖지 못한다. 심지어 금이 사회적으로 인정 받는 경우에도 재난이 벌어져 사회적으로 실물이 더 중요해 졌을 경우에도 역시 금은 가치를 인정 받지 못한다.
현대 화폐는 여기서 더 나아가 있다. 지폐는 그야 말로 국가가 보장하는 종이에 불과하다. 따라서 지폐를 발행하는 국가는 지폐의 위조를 엄격하게 처벌하며, 방지를 어렵게 만든다. 국가의 신뢰도에 따라 각 국 화폐의 가치와 안정성도 달라진다. 이것이 소위 기축통화가 존재하는 이유이고, 이 어려운 시기에도 달러가 강세인 이유이다.
가상화폐는 아직 어느 것도 만족시키지 못한다.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하고, 때문에 사용가 간의 동의가 있으면 화폐의 역할을 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 가상화폐를 정말 화폐로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심지어 가상화폐에 투자하는 목적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화폐로 다시 바꿔서 부를 축적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가상화폐는 국가처럼 그 가치를 보장해주는 국가도 없다. 탈중앙화를 외치긴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가치를 보장해주는 '중앙(국가)'이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보장되지 않는다. 국가가 발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국가가 보장해 줄 수도 없다. 등락폭이 커도 통제할 중앙이 없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20세기 후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국경이 무너질 것이라 예측을 했지만, 21세기 중반으로 가는 지금 국경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으며, 국민국가체제 역시 흔들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애국주의와 국가주의는 몇몇 국가를 중심으로 더 확대되고 있다. 가상화폐라는 국경 없는 화폐의 실험이 내 예측을 비웃고 성공할 수 있지만, 지금으로서 그런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2022년 7월 11일